본문 바로가기
3. 지식&정보/ChatGPT정보

Chat GPT 200% 사용 가이드

by smart8878 2025. 4. 20.
728x90
반응형
SMALL

# Chat GPT 200% 사용 가이드

# 1. GPT 사용의 가장 기초 ‘프롬프트’ 사용 법!
- 제발 GPT한테 냅다 “~해줘” 라고 질문 하지 마세요! (ex. 여드름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 작성해줘)
- Chat GPT를 포함한 모든 AI는 “어떻게 질문을 하는가”에 따라 그 답변의 수준이 천차만별!

- 아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해서 프롬프트를 입력해보세요 🙂

### 1️⃣ 역할 부여하기
- AI가 어떤 입장에서 사고하고, 글을 작성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과정!
- 방법 : 너는 OO의 역할로~ / 너는 OO로서~

### 2️⃣ 맥락 설명하기
- GPT가 나의 요청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제시하기 위해 사전에 이해해야 하는 상황 및 배경 지식을 설명해주는 과정!

- 배경, 사용자 직업, 작성 목적 등을 알려주면 훨씬 맥락에 맞는 결과를 줍니다.
- 예시를 들어서 설명 해주는 것도 좋아요!
- 필요하면 ‘첨부파일’ 기능을 통해 관련된 문서를 업로드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!

### 3️⃣ 구체적인 목표 설정
- 최종적으로 내가 AI가 해주길 바라는 “작업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과정입니다.
최대한 구체적으로 요청 할 수록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

- 정보의 범위 지정 : 예를 들어 학술 레포트 작성을 원한다면 ‘RCT 중심’, ‘PubMed 기반’, ‘최근 10년간 발표된 자료 중심’ 등으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겠죠?
- 형식 지정 : bullet point로 정리, 표로 요약, 인용 포함 여부 등을 지정해줍니다!

**프롬프트 예시**
1️⃣ 역할부여 : 너는 이비인후과 전공자를 위한 리서치 어시스턴트야.

2️⃣ 맥락 설명 : 나는 돌발성 난청(SSNHL)에 대한 논문을 작성 중이야.

3️⃣ 구체적인 작업 요청
- 최근 5년(2019~2024)간 발표된 SSNHL 치료 관련 최신 연구 동향을 **PubMed, ScienceDirect 등의 학술 데이터**를 기반으로 정리해줘.
- 다음 사항들을 **논문 형태로 활용 가능한 수준**으로 bullet point나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.

**<요구사항>**
- 현재 임상에서 활용되는 주요 치료법 비교 (예: 스테로이드, 고압산소요법, 침치료, 항바이러스제 등)
- 각 치료법의 임상 효과와 관련된 **RCT 또는 메타분석 중심의 연구 요약**
- 치료 효과에 대한 **성공률 또는 통계 수치** 정리
- 주요 논문 제목, 저자, 연도, PMID 또는 DOI 함께 명시
- 가능한 경우 각 치료의 **가이드라인 내 권고 수준**도 포함

💡 꿀팁 : 그래도 잘 모르겠으면 GPT에게 프롬프트 짜달라고 해서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당!

# 2. AI 비서 만들기 : 일정 예약하기
- GPT-4o의 ‘일정 예약’ 기능을 활용하면 나만의 디지털 비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이제 **GPT에게 정해진 시간에 특정 메시지를 보내 달라고 ‘예약’**할 수 있어요.

### **1️⃣ Chat GPT 로그인 후 우측 맨 위 “모델”선택에서 → ‘GPT 4-o 일정 예약’ 선택**

![image.png](attachment:ccdf00f4-82c0-47c6-b3ee-fa9a5d59ab32:image.png)

### **2️⃣ “GPT 작업”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원하는 작업을 프롬프트로 입력!**

![image.png](attachment:2b3b8bac-76a6-4854-aa30-f649c657069e:image.png)

**활용 예시 프롬프트**
매일 오전 8시에 아래 3가지를 나에게 보내줘, 모든 내용은 “한국어”로 작성해줘

1. 오늘의 날씨
2. 동기부여 명언 한 줄
3. 어제 미국 주식시장의 핵심 사건 요약
</aside>

### **3️⃣ 프롬프트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세팅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발송되고, 내가 지정해둔 시간대에 원하는 작업을 수행해줌!**

![image.png](attachment:3cddce90-08d7-4cc4-a142-c7d463840d91:image.png)

### **4️⃣ 작업 수정 및 일시정지도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어요!
     우측 점 3개 버튼 클릭하면 “편집” or “일시정지” 선택이 가능합니다!**

![image.png](attachment:c59222ff-1827-4fd4-bcff-3282887b303a:image.png)

![image.png](attachment:fe5300be-257c-40c9-ac80-251d43d6f881:image.png)

# 3. 고퀄리티 레포트 작성을 10분 만에! : 심층 리서치

- GPT의 심층 리서치 기능을 사용하면, 자료 조사도 작성도 전부 내가 할 필요가 없어요!
- **GPT가 스스로 내가 정해 준 주제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조사해서, 구조화된 요약으로 빠르게 정리** 해주거든요!

## 1️⃣ 사용방법
1. **GPT에 로그인 후 GPT 4-o 모델에서 프롬프트 입력 시 하단에 “심층 리서치” 클릭하고, 프롬프트 입력**

![image.png](attachment:daf63714-237c-4d2e-829a-36f66b7761af:image.png)

1. **GPT가 더 필요한 사항을 확인 한 후 내가 요청한 레포트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하기 시작함**

![image.png](attachment:e0f91dd3-9836-4f85-9105-92e0bd528cb0:2cac4782-f975-4f0c-aefc-7e13a8317a6b.png)

![image.png](attachment:b588320b-7dad-4617-b980-c0386c661b8d:image.png)

1. **GPT가 검색하고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이 “활동”으로 쭉 나오는데, 진짜 사람처럼 혼자 생각하고 조사하는 과정들이 기록되서 조금 무섭습니다,,,!

![image.png](attachment:fd3d7177-a0af-4fc5-abcf-94362b028673:image.png)

![image.png](attachment:8c40050c-8bf7-4290-b56f-92e8da289433:image.png)

1. 10분 정도 기다려주시면 알아서 신뢰할만한 자료를 분석하고, 종합해서 상당한 분량의 결과를 제시해줍니다! 참고 문헌도 다 달아주기 때문에 “거짓말은 없는지” 크로스 체크도 가능!

![image.png](attachment:af11d718-c0aa-456b-be54-b218f7c71968:image.png)

![image.png](attachment:64e3b8ef-0b2c-479c-b202-76e4e713f06a:image.png)

## 2️⃣ 프롬프트 예시
- 단, 더 나은 결과를 얻으려면 **명확한 방향성과 기준을 제시하는 프롬프트가 필요**합니다.
→ 단순히 내가 원하는 작업을 냅다 “해줘” 라고 하기 보다는 1번에 알려 드렸던 것 처럼 **GPT에게 “역할, 맥락, 원하는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사항”을 제시해주면 훨씬 정확한 심층 리서치 결과물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!**
→ 아래 적어둔 **분야별 심층 리서치 프롬프트 예시**를 참고하세요!😊

<aside>
📌
**분야별 심층 리서치 프롬프트 예시**

### 1️⃣ 학술 논문
- 너는 이비인후과 전공자를 위한 리서치 어시스턴트야. 나는 돌발성 난청(SSNHL)에 대한 논문을 작성 중이야.
- 최근 5년(2019~2024)간 발표된 SSNHL 치료 관련 최신 연구 동향을 PubMed, ScienceDirect 등의 학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리해줘.
- 다음 사항들을 논문 형태로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bullet point나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.

[요구사항]
- 현재 임상에서 활용되는 주요 치료법 비교 (예: 스테로이드, 고압산소요법, 침치료, 항바이러스제 등)
- 각 치료법의 임상 효과와 관련된 RCT 또는 메타분석 중심의 연구 요약
- 치료 효과에 대한 성공률 또는 통계 수치 정리
- 주요 논문 제목, 저자, 연도, PMID 또는 DOI 함께 명시
- 가능한 경우 각 치료의 가이드라인 내 권고 수준도 포함

### 2️⃣ AI 기술 리서치
- 너는 최신 AI 기술 트렌드를 분석해주는 리서치 전문가야.
- 2023~2024년 기준으로 가장 주목받는 AI 모델의 기술적 특성과 산업 적용 사례를 정리해줘.

[요구사항]
- 최근 발표된 주요 AI 모델들 요약 (예: GPT-4o, Claude 3 등)
- 각 모델의 핵심 기술 개념 및 기존 모델과의 차이점
- 실제 산업에서의 적용 사례 (예: 의료, 금융, 영상 처리, 교육 등)
- 참고 논문, 기술 블로그, 발표자료 링크 포함 (가능하다면 원문 출처도 함께)
- bullet point 또는 표 형태로 요약

### 3️⃣ **미국 주식시장 분석**
- 너는 금융 데이터 분석가야.
- 최근 미국 주식시장의 핵심 동향과 미래 전망을 요약해줘
- 특히 **AI, 에너지, 부동산, 반도체 등 주요 산업 중심**으로 요약해주길 바란다.
- 2025년 4월 기준 최신 데이터 반영해줘

[요구사항]
- 주요 지수 흐름 요약(S&P500, Nasdaq 등)
- 연준 정책(금리 인상/동결 여부) 및 경기 지표(실업률, GDP 성장률 등) 요약
- 특정 산업(예: AI, SMR, 부동산 등)의 이슈와 관련 종목 영향 요약
- 기관 리포트나 전문가 코멘트 요약 포함
- 출처 기반 뉴스 링크 또는 보고서 인용도 함께 포함
- 투자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게 정리해줘

### 4️⃣ 자기계발 리서치
- 너는 행동과학 및 자기계발 분야 전문가야
- “**성공적인 아침 루틴을 만드는 법**”에 대해 **심리학/뇌과학/행동경제학 기반의 연구와 실천 전략**을 중심으로 리서치 결과를 요약해줘.

[요구사항]
- 아침 루틴의 뇌과학적/심리학적 효과 (도파민, 습관 루프, 윌파워 등)
- 대표적인 루틴 예시 (예: Miracle Morning, Time-blocking, 5초 법칙 등)
- 실제 효과를 검증한 최신 논문 또는 서적 요약 (예: PubMed, Google Scholar 등)
- 루틴 형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조건 및 지속 전략
- 신뢰할 수 있는 도서, TED 강연, 과학 기반 콘텐츠 링크 포함
- 인스타그램 콘텐츠로 요약 가능하도록 bullet point 또는 한눈에 들어오는 정리 방식으로 작성
</aside>

# 4. AI 킬러 피해가기?!
## 1) AI 킬러는 어떻게 AI가 작성해준 글 이라는 걸 잡아내나요?

저도 이게 궁금해서 엄청 찾아보고 GPT에게도 물어봤는데! 이런 원리가 있다고 하네요!?!

이 원리를 알아야 우리가 어떻게 피할 수 있을지 그 대책도 세울 수 있으니 공유드려봅니다!😊

<aside>
💡
AI 탐지기들이 어떻게 “이 문장이 AI가 쓴 것 같다”고 판단하는지 궁금하셨죠?

이건 사실 굉장히 흥미로운 **언어 통계학적 원리와 패턴 인식 알고리즘**에 기반해 있어요.

## 🧠 AI 탐지기의 작동 원리, 핵심은 “예측 가능한 문장”

### ✅ 1. **언어의 확률 분포(Predictability)**
AI로 작성된 텍스트는 대체로 **너무 부드럽고 논리적이며, 예측 가능한 구조**를 가지고 있어요.

AI는 문장을 생성할 때 항상 “다음에 올 단어”를 확률적으로 계산해서 가장 가능성 높은 단어를 선택하거든요.

- 인간이 쓴 글: 불규칙한 단어 선택, 개성 있는 표현, 논리의 비약도 있음
- AI가 쓴 글: 대부분 **확률이 높은 평범한 단어들만 사용**

> 예:
>
>
> AI → "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in..."
>
> 인간 → "Frankly, what struck us most was how fast early intervention changes outcomes."
>

### ✅ 2. **Burstiness & Perplexity 분석**
- **단어 다양성(Burstiness)**
    인간은 어떤 문장에서 평범한 단어를 쓰다가도, 갑자기 특이한 단어나 문장 구조를 갑자기 써요. 그런데 AI는 거의 항상 일정한 수준의 “일관된 문체”를 유지하죠.
    
- **예측 난이도(Perplexity)**
    이건 언어 모델이 **문장을 얼마나 예측하기 어려워하는가**를 수치로 나타낸 값이에요.

    - Perplexity가 **낮을수록 AI스러움**
    - 높을수록 인간적인 창의성과 난이도가 있는 문장

👉 탐지기는 이 **perplexity 값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‘AI 작성 가능성 높음’이라고 판단해요.**

### ✅ 3. **문체, 문장 구조, 구두점까지 분석**
- AI는 쉼표나 마침표, 접속사의 사용 패턴이 굉장히 규칙적이에요.
- 또한 **수동태**나 **논문체 표현**이 지나치게 자주 쓰이기도 하고요.
- 반면, 사람은 말하다가 접속사 없이 문장을 끊는다거나, 구두점 사용이 덜 매끄러울 수 있어요.

## 🔬 실제 예: 같은 문장의 Human vs AI style

| **인간 작성** | **AI 작성** |
| --- | --- |
| "솔직히, 이 데이터는 예상 밖이라 당황스럽다." | "The data indicates an unexpected outcome, suggesting a need for further analysis." |
| "이럴 줄 알았으면 다른 방법을 썼을 텐데…" | "Alternative methods may have yielded better results, according to this analysis." |
- 인간 문장은 **개성, 감정, 모호성**이 들어감
- AI 문장은 **논리적, 정제된 문장, 예측 가능한 단어 사용**

## 💡 그래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?
| **전략** | **설명** |
| --- | --- |
| Perplexity ↑ | 예측 불가능한 단어와 문장 구조 활용 (즉, 당신의 문체로 바꾸기) |
| Burstiness ↑ | 표현 다양성 늘리기: 쉬운 문장과 어려운 문장을 혼합 |
| 인용 및 경험 삽입 | 개인적 시각, 연구자의 판단이 반영된 문장 추가 |
</aside>

## 2) AI 킬러 피하는 방법
### 1️⃣ GPT에게 평소 내가 사용하는 말투를 학습 시켜서 “나의 문체”로 바꿔주기
- 예측 불가능한 단어와 문장 구조를 활용하는 인간의 특성을 GPT에게 학습 시키는 거에요!
- 이 학습을 위해서는 평소 내가 썼던 문장들이 필요합니다 :)
ex. 컨텐츠 제작 → 그동안 만들었던 릴스 대본 5-6개 or 블로그 글 5-6개 등등
ex. 논문/레포트 작성 → AI 없이 직접 썼던 학술 논문 내용 or 과거에 직접 작성했던 레포트 내용
- 이런 나의 말투를 학습 시킬 수 있는 데이터가 준비 되어 있다면, GPT에게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활용해서 나의 말투를 학습 시키고 난 다음, 필요한 작업을 요청하시면 됩니다!

<aside>
📌
**프롬프트**
- 너는 숙련된 [역할]로서, 내가 요청하는 [작업]을 나의 말투와 스타일로 자연스럽게 작성해주는 AI야.
- 지금부터 내가 직접 작성한 예시들을 하나씩 보낼게. 각 예시를 받을 때마다 "학습 완료" 라고 짧게 답해줘.
- 내가 "완료"라고 말하기 전까지는 말투와 스타일만 집중해서 학습해줘.
- "완료"라고 말하면, 그 이후부터 내가 요청하는 모든 작업은 지금까지 학습한 나의 말투, 톤, 스타일을 반영해서 작성해줘.
</aside>

### 2️⃣ 반복 생성 & 직접 내용 스크리닝!
- 가장 좋고 확실한 방법은 **GPT가 직접 적어준 문장을 내가 전부 읽어보면서, 어색한 부분을 수정**하거나 혹은 **그대로 옮겨 적기 보다는 GPT 말을 내 말로 바꿔서 적어주는** 것!
→ But, 모든 문장을 이렇게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테니까 아래의 방법들도 사용해봅시다!
- 같은 내용을 2-3번 반복해서 생성해달라고 요청해서 각각의 결과물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문장들만 골라와서 짜집기 하는 방법도 좋아요 😊

### 3️⃣ AI 탐지기 직접 돌려보기 (신뢰도 100% 아님! 참고만 하세요!)
1. **GPT 사이트 좌측 사이드바에 “GPT탐색” 클릭**
![image.png](attachment:7c6bf65f-2e42-4f95-b636-6fa1b844b333:image.png)

1. **“표절” or “AI 탐지” 검색하면, AI 텍스트 생성을 탐지해주는 다양한 GPTs들이 등장합니다**

![image.png](attachment:76386c2e-7424-44a5-adab-838a3b8baa4b:image.png)

![image.png](attachment:b799c5e0-16c0-4cff-b439-45494d45952a:image.png)

1. **이중 가장 사용수가 많은 GPTs를 골라서 내 텍스트를 넣고 AI 탐지율을 확인해봅니다**
→ 저는 카피킬러가 만든 AI생성 텍스트 탐지 / Plagiarism Checker Pro 표절노노
    이렇게 두가지 넣어봤어요!
⇒ 제가 해봤을때는 “카피킬러가 만든 AI 생성 텍스트 탐지”가 훨씬 정확하긴 했는데
   (직접 쓴 논문은 표절률 0% 나왔고, AI 일부 사용한 논문은 표절률 30% 나오더라구요?! )
⇒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니 여러가지 툴을 돌려보는 것도 방법인 것 같습니다!

### Q. 그런데 과연 AI 탐지기의 정확도가 얼마나 되는 걸까..? (특히 논문, 레포트 주의)

<aside>
💡
**AI 탐지기의 정확도는 절대 100%가 아님!**  
**“인간이 작성한 문장도 너무 매끄럽고 정형적이면 AI로 오탐지 될 수 있습니다”**
그래서 우리는 AI 탐지기의 핵심 한계점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어요!

## 🎯 왜 이런 문제가 생길까?
AI 탐지기는 기본적으로 ‘패턴’을 기반으로 판단합니다. 그런데 **훌륭한 글이라는 것 자체가 곧 논리적이며 예측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는 점**에서, AI가 자주 쓰는 문장 구조와 유사해질 수밖에 없어요.

### 예를 들어:
| 문장 | 탐지기 판단 경향 |
| --- | --- |
| "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..." | AI 문장으로 잘못 판단될 확률 ↑ |
| "As a researcher who directly treated patients, I observed a unique pattern..." | 인간 문장으로 판단될 확률 ↑ |

**즉, 학문적으로 정제된 표현은 ‘AI스러움’과 경계가 희미해질 수 있다는 것**이에요.

## 🔍 실제 연구 결과
- **GPTZero, ZeroGPT 등 유명 탐지기들의 연구 결과들에도 이런 내용이 있대요!**
    - **AI 작성 문장을 인간으로 잘못 인식한 비율 (False Negative)**: 8~20%
    - **인간이 쓴 글을 AI로 오인한 비율 (False Positive)**: 12~30%

## 🚨 그래서 어떤 문제가 생길까?
1. **논문 리뷰어 또는 편집자**가 AI 탐지기를 돌리고 "이건 AI가 쓴 것 같습니다"라고 하면,
→ 실제로 사람이 쓴 글도 억울하게 설명해야 할 수 있어요.
2. **표절이나 부정행위 의심**을 피하려면, 오히려 **인간적인 흔적**을 의도적으로 남기는 것이 필요해요!

## ✅ 실전에서 안전하게 쓰는 팁
| 전략 | 설명 |
| --- | --- |
| 인간의 관점, 경험을 드러내라 | **논문에서 직접 관찰한 사실, 개인적 견해 등을 적절히 포함** |
| 표현의 균형을 맞춰라 | 너무 **정형적인 문장은 일부러 약간 단순화/축약** |
| AI 탐지기 사용시 이중 검증 | **여러 툴을 병행해서 돌려보고 평균값 판단** (GPTZero + Originality.AI 등) |
| AI 사용 사실은 차라리 ‘투명하게’ 명시 | 일부 학술지에서는 **AI 사용을 솔직하게 밝히는 것이 오히려 신뢰를 줌** |

💬 결론
> AI 탐지기는 "AI 같다"는 경향성만 판단하지,
>
>
> **진짜 누가 썼는지를 절대 100%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.**
>

사람이 쓴 훌륭한 문장도 충분히 AI로 오탐지될 수 있어요.

그래서 중요한 건 **탐지 결과에 의존하지 말고, 저널 가이드라인에 맞춰 투명하고 책임 있게 작성하는 자세**입니다!

</aside>

<aside>
💡
**제가 여러분들께 이런 팁 들을 공유하는 것도, AI의 도움을 받아서 불필요한 노동을 줄이고, “효율”을 높이라는 거지, AI에게 모든 것을 일임 하라는 의미가 절대 아닙니다!!**

**특히 정확도와 신뢰도가 생명인 “논문 작성”에서는 절대 GPT를 200% 신뢰하지 마시고, 직접 레퍼런스들도 다 읽어보시고 GPT가 작성해 준 내용과 크로스체크 해보시면서 우리 모두 책임감 있게 작성에 임해보자구요!!😊❤️**



반응형